본문 바로가기

재)기독교대한감리회유지재단/임마누엘교회 송파구방이복지관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복지관 소식

참여후기

전연령 소나무2 참여자 꿈 찾기 활동 진행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410회 작성일 24-04-24 11:12

본문

▲ 꿈 찾기 활동 PATH 꿈 지도 그리기


서울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서 지원하는 2024 소중한 나와 함께 하는 동무: 소나무2 사업의 참여자 꿈 찾기 활동 PATH가 4월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꿈을 찾고 실천하는 프로그램인 소나무2 사업은 당사자 분들의 설렘과 기대 속에 시작이 되었는데요.

복지관에서 참여자분들과 함께 어떤 활동을 진행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PATH를 들어보신 적이 있나요?


PATH는 Planning Alternative Tomorrows with Hope의 약자로 "희망적인 미래 계획"이라는 뜻인데요.

소나무 사업에 참여하는 1인 가구 장애인 당사자의 꿈과 행복, 강점, 선호를 발견하여 하고 싶은 활동, 배우고 싶은 것을 직접 선택하고 실천하는 사업입니다.

PATH는 구체적인 기간을 정해서 그동안 내가 무엇을 하며 즐겁고 행복하게 지낼 수 있을지, 어떤 꿈을 이루고 싶은지 찾아가고자 하는 활동입니다.


▲ 당사자가 원하고 바라는 일이 무엇인지 찾아가는 아이디어 판 그리기를 하는 모습


아이디어 판에 당사자가 살아가면서 행복했던, 즐거웠던 기억, 중요한 것들을 수집하여 북극성을 찾아가는 과정을 함께 합니다.

북극성(꿈)은 하늘에 변함 없이 떠 있는 별인 것처럼 "당사자의 변함 없는 꿈이나 목표"를 의미합니다.


꿈이나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계획이 필요한데요. 담당자와 당사자와 함께 상의하고 합의해서 실행 계획을 수립합니다.


- 긍정적이고 실현 가능한 목표 (1년 뒤 목표)

- 큰 발걸음 (6개월 뒤 목표)

- 작은 발걸음 (3개월 뒤 목표)

- 첫 걸음 (3일 이내 목표)에 대해 구체적으로 정하고 내가 어떤 것을 해야 하는 지 함께 생각하고 상의해서 결정하게 됩니다.



▲ 1년 뒤, 6개월 뒤, 3개월 뒤 목표를 정하고,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는 모습


당사자 혼자서 결정하는 것이 아닌 당사자의 꿈과 목표를 도와줄 일촌이웃과 함께 이야기를 나누며 목표를 정했습니다.

오늘 와주신 참여자의 북극성(꿈)은 많은 사람들과 관계 맺고 지역사회에서 다양한 활동(그림그리기, 피아노, 운동, 자원봉사)을 하며 건강하게 살아가는 것이었는데요.

참여해주신 일촌이웃분께서 그림그리기 활동에 기꺼이 함께해주신다고 하셔서 앞으로의 실천이 더욱 기대가 되었습니다.


▲ 당사자(주인공)의 꿈(목표)인 '북극성'을 그리는 모습


꿈 찾기 활동 이후에는 마지막에 나만의 꿈 지도에 이름을 붙이는 시간도 함께 가졌는데요.

당사자 분들께서는 "그동안 머리 속에만 있었던 생각을 끄집어 내주셔서 정리가 되는 느낌이었다" "앞으로 어떤 걸 해야할 지 알았다"

"내가 바라고 원하는 일들을 앞으로 이루어 나갈 생각에 마음이 따뜻해진다" "혼자서 어렵게 느껴졌던 일을 함께 한다니 든든하다" 등의 의미 있는 소감을 말씀해주셨습니다.




▲ 당사자(주인공)의 꿈 지도 그리기 완성


당사자의 꿈 찾기 활동에 함께 해주신 일촌이웃 분들과 담당자께서는 "지금처럼만 하면 모든 이루어 낼 수 있어요!" "한 걸음 씩 함께 나아가 봅시다. 화이팅!!" "꿈은 꼭 이루어질거에요!"

"전시회 여는 날 꼭 저도 초대해주세요" 라며 참여자가 꿈에 닿아가는 과정을 열심히 응원하고 격려해주기로 약속했습니다.


앞으로가 더욱 기대되는 소나무2 참여자 10명의 주인공들이 어떤 다양한 모습으로 꿈을 향해 나아갈 지 기대가 되는데요.

꿈에 다가가는 당사자 분들께서 꿈을 달성할 수 있도록 많은 격려와 응원을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2012~2025 BANG-I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HiHompy.

지능정보화기본법 제 47조(장애인.고령자 등의 정보통신접근성 품질인증 등) 및 동법 시행령 제3조등에 의거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공인된 인증기관인 (사)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이 인증한 사이트 입니다.